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OTT와 IPTV의 경쟁 : 변화하는 미디어 소비 환경

by 정보공급 2024. 6. 9.
반응형

최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가 유료방송을 빠르게 대체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경기 침체로 인해 소비력이 줄어들면서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유료방송 가입 이유와 변화하는 소비 패턴

보고서는 유료방송에 가입한 가구주를 대상으로 가입 이유를 조사한 결과, '인터넷, 이동통신 등과의 결합상품을 이용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35.4%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이는 유료방송을 선택하는 주요 요인이 인터넷 및 이동통신과의 결합상품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화질이 우수하다', '요금이 저렴하다'는 등의 이유로 유료방송을 사용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각각 17.5%, 19.8%였다. 이는 2019년의 30.1%, 24.3%와 비교할 때 크게 감소한 수치로, 유료방송의 매력이 감소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OTT 서비스의 급부상

한편, 유료방송을 가입하지 않은 가구주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묻자, 'OTT 서비스를 이용해서'가 36.8%로 가장 많았다. 이는 많은 소비자들이 유료방송 대신 OTT 서비스를 선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 다음으로는 '볼만한 프로그램(채널)이 없어서'(17.4%), '지상파로 충분해서'(13.9%) 등이었다.

보고서는 “한국 유료방송 시장의 경우 유료방송 가입자 해지(cord-cutting) 현상이 본격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있다”라며 “우리나라 소비자의 인터넷과 스마트폰 이용 행태를 감안하면 결합(bundling)이 유료방송 이탈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라고 설명했다.

 

TV의 진화 : 방송 프로그램에서 OTT 소비 매체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유료방송 가입률이 정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TV수상기가 방송프로그램 소비뿐 아니라 OTT 소비 매체로 기능이 진화하고 있다. 이는 TV가 단순히 방송을 시청하는 도구에서 다양한 OTT 콘텐츠를 소비하는 매체로 변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유료방송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 'OTT 서비스 이용'이 가장 높다는 점은 경제 침체로 인한 소비 둔화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OTT가 유료방송의 대체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앞으로 유료방송과 OTT 간의 경쟁이 더욱 격화될 것임을 예고한다.

 

결론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도에 거주하는 4633가구의 만 13세 이상 가구원 7055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결과는 미디어 소비 패턴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유료방송과 OTT 서비스 간의 경쟁이 앞으로 더욱 치열해질 것임을 시사한다. 소비자들은 더 이상 기존의 유료방송에 의존하지 않고, 보다 다양한 선택지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미디어 소비 방법을 찾고 있다. 이는 미디어 산업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이며, 앞으로의 시장 동향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다.

 

디즈니 플러스 가격 요금제 및 할인 방법 (tistory.com)

 

디즈니 플러스 가격 요금제 및 할인 방법

디즈니 플러스는 세계적인 콘텐츠 기업인 디즈니가 제공하는 온라인 스트리밍 OTT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미국에서 2019년 처음 출시되었고, 한국에는 2021년에 도입되었습니다. 초기에는 넷

happylife6.tistory.com

 

반응형